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불법 체류자에 대한 대규모 추방이 현실화 되자 멕시코 정부도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미국 정부가 추정한 약 1100만명의 불법 체류자(이주민) 가운데 멕시코인이 약 400만명 이상으로 3분의 1이 넘는다. 3명 중 1명이 멕시코인이다.
본격 추방이 시작되면서 2월17일 기준으로 14,470명의 이주민을 멕시코로 추방했는데, 그 중 11,379명이 멕시코 국민이었다고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셰인바움이 밝혔다.
이 수치는 트럼프 집권 이전인 바이든 대통령 정부에서 매주 6,500명이 추방된 사례와 비교했을때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소리만 요란했지 실질적으로는 크게 변동사항이 없는 셈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훨씬 많은 멕시코인이 추방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멕시코 정부도 적극적인 대책마련에 나섰다.
돌아오는 동포들이 낙담하지 않고 정상적인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업체와 공동으로 이들에 대한 연결프로그램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취업을 돕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부족한 일손에 시달리던 기업들도 이들의 채용에 적극적이다.
처음에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약 40여개 기업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었는데 국경과 가까운, 미국으로 수출하는 업체가 몰려있는 누에보레온과 멕시코 주가 가장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멕시코 비즈니스 조정위원회(CCE)는 "추가로 87개 기업이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면서 지금은 총 126개 기업이 정부의 노동 통합 전략에 참여하고 있다" 고 밝혔다.
기업들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현재까지 약 46,000개의 일자리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손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주는 누에보 레온(7,516개)이며 멕시코 시티(4,965개), 멕시코 주(3,357개), 과나후아토(2,872개), 할리스코(2,843명), 코아후일라(2,607명), 케레타로(2,360명)가 그 뒤를 잇고 있다.
CCE(비즈니스 조정위원회)는 노동 통합 전략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며 자국내 기업들이 프로젝트에 더 많이 참여하기를 희망하면서 비즈니스 커넥션 웹사이트에 등록을 촉구했다.
정부와 기업체가 공동노력으로 내놓는 정책에 따라 귀국하는 동포들도 자신의 기능에 맞는 기업을 골자 지원하게돼 경력단절 없이 계속 일을 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 정부는 추방으로 인한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생활인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하고 있는데 실제, 돌아온 대부분의 멕시코인은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의사를 나타내고 있어 미국에서 생이별한 가족 구성원들도 뒤따라 고국으로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