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미국의 테러단체 지정 여파, 금융거래 "더욱 깐깐해진다"

작성자 사진: 멕시코 한인신문멕시코 한인신문

최종 수정일: 2월 23일



예상했던 대로 미국 정부가 멕시코 카르텔을 테러 조직으로 지정했다.각 분야에 여파가 있겠지만 당장 금융거래가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의 금융 및 보안 당국은 모든 유형의 회사와 정부 기관이 조직 범죄와의 공모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감독 정책과 자금 세탁 방지 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멕시코는 일정 금액 이상을 현금으로 입금하거나 출처가 불분명할 경우 계죄 동결조치로 조사에 나서는 등 마약조직 자금 거래에 대한 예방적 조치가 활성화 되어 있지만 미국의 테러단체 지정은 더욱 엄격한 금융내역을 들여다 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 멕시코 중앙은행 총재인 빅토리아 로드리게스 세하(Victoria Rodríguez Ceja)는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조치가 금융규제 프레임의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다" 면서도 "멕시코가 금융활동기구(FATF)에 가입되어 있으며 자금세탁 방지와 테러자금조달 방지를 위한 강력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갖추고 있다" 고 밝혔다.


총재에 따르면, "은행은 불법 활동이 의심되는 개인 및 법인에 대한 OFAC(외국자산통제국) 목록을 모니터링하고 의심스러운 사항이 감지되면 조치를 취하게 된다" 면서 금융정보원에 통보하고 해당 계좌를 취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멕시코로 들어오는 송금을 포함하여 외국으로 빠져나가는 돈에 대한 감시도 강화하면서 자금세탁을 방지하고 있는데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는 지금보다 더욱 깐깐하게 들여다 보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따라, 앞으로 일정액 이상의 금융거래시에는 반드시 출처가 분명하고 이를 입증할 만한 근거제시가 필수이므로 거액의 자금이체시에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즉, 한 번이라도 큰 액수의 돈을 입금하고 계좌동결조치가 되었을 경우 계속 요주의 감시를 받게 된다는 점과 이를 해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사업자의 경우 국세청(SAT)으로 보내는 통지의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금융정보원(UIF)이 불법적 출처의 자원을 가진 거래를 파악하거나 테러 자금 조달을 탐지하고 이를 처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멕시코 금융정보원(UIF)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에는 자금세탁 및 테러를 예방하고 퇴치하기 위해 총 4,170만 건의 신고 및 경고가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년 전보다 13배나 많은 수치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에는 은행을 비롯한 금융 서비스 고객 및 이용자로부터 이상 거래 신고가 2023년에는 303,670건 이었으나 작년에는 319,211건 으로 늘어났다.


주의를 끌게되는 7,500달러(약 15만페소)를 초과하는 거래 신고는 1,530만 건에 달했다.


멕시코는 세계 25개 국가를 '회색' 목록 리스트에 올려 감시를 강화하고 있는데 올해는 라오스와 네팔이 추가되었다. 북한, 이란, 버마는 여전히 '블랙' 리스트에 올라 있다.


멕시코 금융경영인협회(IMEF)의 가브리엘라 구티에레스 모라 회장은 외국자산통제국(OFAC)이 이러한 지정을 통해 개인, 회사 및 금융 기관의 재산과 자산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 부문과 회사에 미치는 영향은 말할 것도 없지만 국가 또는 지역 전체에서 거래가 금지될 수 있다는을 우려했다.


당국은 부동산 부문, 휘발유 판매 등 범죄 조직과 관련된 공급업체와 거래하거나 보호비를 지불해야 하는 기타 제조 사업에 특히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모두 조직범죄의 주요 수익원이기 때문이다.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범죄조직에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던 멕시코 정부가 자금줄은 물론 직접타격론까지 불사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등장은 국내 정치개입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멕시코 국내에서도 명분을 얻고 있어 결과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Facebook 공유하기

멕시코 한인신문사 | TEL : 5522.5026 / 5789.2967 | E-mail : haninsinmun@gmail.com

Copyright © HANINSINMUN S.A DE C.V.  All Rights Reserved.

※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은 한인신문사에 공식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복제 및 전재, 도용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bottom of page